국내/외 기업의 새로운 글로벌 비즈니스 트렌드, 메타버스
페이스북이 창립 17년 만에 처음으로 사명을 ‘메타’로 바꾸며 “메타버스가 새로운 미래”라고 선언했어요. 마이크로소프트는 한화 약 82조 원을 투자해 미국의 게임 회사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하며 “강력한 메타버스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죠. 국내 기업의 움직임 또한 심상치 않습니다. 카카오는 자사의 다양한 콘텐츠를 메타버스로 확장하는 사업을, 네이버는 인공지능, 로봇, 클라우드 등의 기술을 융합한 메타버스 생태계를 구축하는 사업을 계획하는 등 메타버스를 차세대 핵심사업으로 내세우고 있어요.
그러나 앞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은 잠재력 높은 사업 아이템 그 이상의 역할을 다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유수 기업의 비즈니스 리더와 인사 담당자 사이에서는 기업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메타버스를 선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의 메타버스는 어떠한 이점이 있을까요? ‘기업 속의 메타버스'가 가져올 3가지 비즈니스 혁신을 살펴보겠습니다.
기업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선택하는 이유
1. 뉴노멀 근무 형태와 '메타버스 플랫폼'의 시너지로 근무환경 혁신
기업과 조직 구성원은 팬데믹과 함께 갑작스러운 근무 방식의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보편화되면서 집에서 원격으로 업무에 임하는 재택근무가 늘어난 건데요. 시작은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일시적인 도입이었으나, 많은 기업이 코로나19가 종식된 후에도 달라진 근무 방식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메타버스는 바로 이러한 뉴노멀(New Normal)의 근무 방식과 결합해 놀라운 시너지 효과를 냅니다. 메타버스는 ‘가상 현실’이라는 말로 단순히 정의할 수 없는 세계입니다. 마치 실제 현실처럼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가상 현실’라는 점이 메타버스의 핵심이죠. 비대면 근무 방식이 낯선 직원들은 얼굴을 마주하지 않고 소통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곤 하는데요. 사무실과 같은 업무 공간이 구축된 메타버스에서는 자신의 아바타를 사용해 동료들과 편안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팀원끼리는 물론, 경영진, 파트너사, 고객과도 무리 없이 상호작용할 수 있죠.
KG이니시스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근무 환경의 혁신을 이뤄낸 대표 기업 중 한 곳입니다. KG이니시스는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운 상황에서 가맹점과 원활히 소통하기 위해 메타버스 가맹점 지원센터 ‘메타 이니시스'를 열었어요. 이곳에는 전문 상담직원이 상주하는 고객센터, 회의실로 이용 가능한 라운지, 가맹점 지원센터를 찾은 방문객이 편안하게 휴식을 즐길 수 있는 홀 등의 공간이 마련돼 있죠. ‘메타 이니시스'에서는 신규 가입, 업무 제휴, 기술 지원 등 전문 상담 직원을 대면해 진행하던 모든 지원을 그대로 받을 수 있어요. 메타버스를 활용해 비대면 시대에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구축한 KG이니시스는 근 미래에 펼쳐질 근무 환경에 한 발짝 더 가까이 다가섰습니다.
2. 물리적 제약 없이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자유로운 출근
조직 구성원의 업무 공간이 메타버스로 이동하는 순간, 기업은 모든 물리적 제약에서 벗어납니다.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바로 직원 채용이죠. 사무실을 이용하는 기업은 채용할 직원의 거주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무리 훌륭한 인재일지라도 부득이 고용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해요. 하지만 업무 영역에서의 메타버스를 현실화하면, 채용의 무대는 사무실 근처 지역으로 한정되지 않습니다. 국내를 넘어 해외까지도 무한히 확장되죠. 메타버스 환경에서 업무를 진행하는 것은 고용된 직원에게도 이롭습니다. 주거 비용이 많이 드는 지역에 굳이 머무르지 않아도 근무가 가능하기 때문이에요.
코로나19 이후, 사무실 출근을 폐지하고 메타버스 근무 제도를 도입한 직방은 채용 구조 혁신의 이점을 톡톡히 누리고 있습니다. 여선웅 직방 커뮤니케이션실 총괄 부사장은 매거진 한경과의 인터뷰에서 “서울에서 지방이나 제주도로 이사를 하거나 해외에서 채용된 이들이 많아졌다”며, 메타버스 근무 제도 도입 이후 달라진 채용 구조의 장점을 이야기했어요. 실제로 직방은 “메타버스로 출근하세요”라는 내용의 광고를 진행하며, 전국에서 직원을 채용하기도 했습니다. 현실의 제약을 극복하는 메타버스는 모든 사람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채용 구조의 혁신, 그 이상의 의미가 있어요.
3.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비즈니스 자원 절감
기업 운영에 드는 비즈니스 자원을 줄일 수 있다는 것도 메타버스를 업무 영역에 접목했을 때 얻는 이점 중 하나입니다. 메타버스를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이용하면, 사무실을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요. 비즈니스 설명회, 채용 설명회 등 다수의 외부 인원이 참석하는 행사도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쉽게 구현할 수 있죠. 장소 대관료, 교통비 등의 추가 비용이 전혀 들지 않습니다.
재택근무를 하다 보면 종종 직원 간 정보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곤 하는데요. 메타버스 환경에서는 비즈니스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모두 디지털화하기에 팀원끼리 업무를 공유하는 데 드는 인적 자원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이렇게 절약한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 비즈니스 역량을 더욱더 강화할 수 있죠.
G마켓글로벌의 전사 미팅은 메타버스를 접목해 비즈니스 자원을 획기적으로 절감한 사례입니다. 신세계그룹과 함께 새로운 출발을 알린 G마켓글로벌은 산하에 있는 G마켓, 옥션, G9의 모든 직원을 모아 회사의 비전을 공유하는 메타버스 전사 미팅을 열었어요. 이 행사는 ‘호돌이’를 주인공으로 하는 88올림픽에서 모티브를 얻어 모든 직원이 올림픽 선수가 되어 게임처럼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습니다. 만약 전사 직원이 참석할 수 있는 거대한 행사장을 대여하고 올림픽 콘셉트의 무대와 공간을 일일이 디자인했다면, 감히 상상할 수 없는 막대한 금액이 들었을 거예요. 그러나 G마켓글로벌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행사를 진행한 덕분에 한 달이라는 짧은 준비 시간 안에 합리적인 비용으로 행사를 기획하고 개최했죠.
기업의 미래를 바꿀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버스는 정보통신기술 생태계를 뒤바꿀 웹 3.0 플랫폼으로 불립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메타버스 시장의 규모는 2020년 4787억 달러에서 2024년 7833억 달러로 가파르게 성장할 전망이죠. 메타버스는 기업의 미래도 완전히 바꾸어 놓을 것입니다. ‘기업 속의 메타버스’가 가져올 세 가지 혁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새로운 미래에 빠르게 적응해보세요!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 어려운 이유, 성공사례
- [2022 메타버스 플랫폼 비대면 바우처] 70% 할인가로 오비스를 도입할 수 있는 기회!
다가오는 뉴노멀 업무 환경, 메타버스 플랫폼 도입으로 업무 인프라를 구축하세요!
세계적으로 일상이 된 원격근무, 오비스 가상공간에서는 오프라인 출근과 차이없는 자연스러운 업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오비스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브리드 근무 도입, 고민중이라면? 꼭 체크해야 할 3가지 (0) | 2022.07.18 |
---|---|
원격근무 시대, 새로운 기업 복지로 떠오르는 '워케이션'(workation) (0) | 2022.05.30 |
비대면 교육의 진화 - 이제 온라인 학교에서 '메타버스'로 수업 듣는다 (1) | 2022.05.16 |
재택근무 종료 or 재택근무 지속? 재택근무 유지 기업으로 이직하는 직장인들 (0) | 2022.05.09 |
정부 기업 재택근무 활성화 지원안 발표 (재택근무 인프라 구축비 지원사업) (0) | 2022.05.09 |